▣ 2022 개정 교육과정
01. 성격 및 목표
02. 내용 체계 및 성취 수준
03. 교수• 학습
04. 평가
▣ 연간 지도 계획
Ⅰ. 디지털 전환과 직업 생활
01. 디지털 전환 사회
1 디지털 전환의 이해
2 디지털 전환을 가져온 핵심 기술
02. 디지털 전환과 생활의 변화
1 디지털 전환과 우리 생활
2 디지털 역량
03. 디지털 전환과 직업 세계의 변화
1 디지털 전환에 따른 직업 세계의 변화
2 디지털 직업 환경과 진로 능력 개발
• 대단원 정리 및 평가 문제
◎ 대단원 마무리 문제
Ⅱ. 디지털 의사소통과 협력
01. 디지털 의사소통
1 디지털 의사소통과 직업 생활
2 디지털 의사소통 도구
3 올바른 디지털 의사소통
02. 디지털 직업 환경과 협업
1 디지털 협업 기술과 직업 생활
2 디지털 협업 기술의 활용
• 대단원 정리 및 평가 문제
◎ 대단원 마무리 문제
Ⅲ.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과 제작
01. 디지털 콘텐츠의 이해
1 디지털 콘텐츠의 개요
2 디지털 콘텐츠의 유형
02.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
1 디지털 콘텐츠의 검색과 선택
2 디지털 콘텐츠 열람
3 디지털 콘텐츠 평가
03. 직업 생활과 디지털 콘텐츠 제작
1 디지털 콘텐츠 편집 소프트웨어
2 창의적 디지털 콘텐츠 제작
• 대단원 정리 및 평가 문제
◎ 대단원 마무리 문제
Ⅳ. 디지털 문제 해결
01. 디지털 문제 해결의 이해
1 직업 생활과 디지털 문제 해결
2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문제 해결 사례
02. 직무 분석과 디지털 기술 활용
1 직무별 디지털 기술의 활용
2 디지털 문제 해결을 위한 직무 분석
03. 직업 생활과 디지털 문제 해결의 구현
1 블록 기반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문제 해결
2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문제 해결
• 대단원 정리 및 평가 문제
◎ 대단원 마무리 문제
Ⅴ. 인공지능과 직업 생활
01. 인공지능의 이해
1 인공지능의 개념
2 인공지능의 특성
3 생활 속 인공지능
02. 기계학습과 기계학습 모델 구현
1 기계학습의 이해
2 기계학습 모델 구현
03. 직업 생활과 인공지능의 역할
1 인공지능과 직업 생활의 변화
2 직업 생활 속 인공지능의 활용
3 인공지능의 윤리적 활용
• 대단원 정리 및 평가 문제
◎ 대단원 마무리 문제
Ⅵ. 디지털 시민 의식과 윤리
01. 디지털 시민 의식의 이해
1 디지털 시민 의식의 의미
2 디지털 시민이 갖추어야 할 구성 요소
02. 디지털 시대의 예절
1 다양한 디지털 환경
2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의 예절
03. 디지털 시대의 직업 윤리
1 디지털 시대의 직업 윤리의 이해
2 디지털 시대의 직업 윤리 지키기
• 대단원 정리 및 평가 문제
◎ 대단원 마무리 문제